어린이정상체온은 몇 도? 정확한 기준과 열 판단 방법

어린이 체온을 측정했는데 37.4℃가 나왔다면 어떤 생각이 드시나요?
"열이 나려고 하나?" 혹은 "괜찮은 걸까?"라는 걱정이 앞설 수 있습니다.

하지만 어린이의 정상체온은 성인과 다를 수 있으며, 측정 부위나 시간대에 따라 체온이 달라지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.
이 글에서는 부모님이 가장 궁금해하는 ‘어린이 정상체온은 몇 도인지’,
그리고 정상 체온의 범위, 주의해야 할 고열 또는 저체온 상태, 정확한 체온 측정 방법까지 구체적으로 안내해 드리겠습니다.

 


✔ 어린이 정상체온은 몇 도일까?

  • 기본 정상 범위: 일반적으로 어린이 정상체온은 36.1~37.8℃ 사이입니다.
    측정 부위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, 겨드랑이는 평균적으로 36.5℃, 귀나 항문은 이보다 약간 높게 나올 수 있습니다.
  • 시간대에 따른 차이: 아침보다는 오후나 저녁 시간에 체온이 0.5℃가량 높을 수 있습니다.
  • 연령별 특성: 생후 1~2세 아이는 신진대사가 활발해 체온이 높고, 초등학생 무렵이 되면서 점차 성인과 비슷한 체온으로 안정됩니다.

✅ 요약:
어린이 정상체온은 성인보다 다소 높을 수 있으며, 37.5℃ 전후라고 해서 모두 발열은 아닙니다.


✔ 체온이 높거나 낮을 때, 어디까지 괜찮을까?

  • 고열 기준: 대부분의 소아과 기준에서 38℃ 이상이면 발열로 간주합니다.
  • 저체온 기준: 35.5℃ 이하일 경우 저체온증을 의심해야 합니다.
  • 주의할 상황: 체온이 높아도 컨디션이 좋으면 대부분 괜찮습니다.
    반면 정상 체온이라도 아이가 축 처져 있다면 더 주의 깊게 살펴야 합니다.


✔ 정확하게 체온을 재려면 어디를 측정해야 할까?

  • 귀 체온계: 빠르지만 정확도에 오차가 있을 수 있습니다.
  • 겨드랑이 측정: 안전하지만 실측보다 낮게 나올 수 있습니다.
  • 항문 체온계: 가장 정확하나 일반 가정에서는 사용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.
  • 입안 체온: 4세 이상에게 적합, 식사 후엔 측정 피해야 합니다.

📌 체온 측정 시 주의사항:
같은 부위에서 같은 시간대에 반복 측정하는 것이 좋습니다.
3~5분 간격으로 2회 이상 측정해 평균값을 참고하세요.


✔ 체온 변화에 민감한 시기, 언제 주의할까?

  • 생후 6개월~24개월: 면역체계가 불안정해 열이 자주 날 수 있습니다.
  • 유치원 입학 초기: 새로운 환경에서 감염 노출이 증가합니다.
  • 겨울철 독감 시즌: 독감, RSV, 코로나 등 호흡기 감염에 유의해야 합니다.


✔ 병원에 바로 가야 하는 체온 신호는?

  • 3개월 미만 유아가 38℃ 이상인 경우
  • 고열이 3일 이상 지속되거나 해열제 반응이 없는 경우
  • 의식 저하, 경련, 입술 색 변화 등 동반 증상이 있는 경우
  • 수분 거부, 소변 감소 등 탈수 의심 증상이 동반될 때

💡 팁: 체온만 보지 말고 아이의 행동 변화를 함께 살피는 것이 중요합니다.


🔍 최신 연구: 아이들의 정상체온도 변하고 있다?

  • 스탠퍼드대 연구: 현대인의 평균 체온이 150년 전보다 약 0.3℃ 낮아짐
  • 원인: 백신, 염증 감소, 생활 습관 변화
  • 어린이에게도 정상체온 하락 추세가 적용될 수 있다는 의견 존재

하지만 전문가들은 어린이는 여전히 성인보다 체온 상한선이 높다는 점을 강조합니다.


✅ 마무리 요약

  • 어린이 정상체온은 36.1~37.8℃입니다.
  • 체온만 보지 말고 아이의 활동 상태를 함께 살펴야 합니다.
  • 정확한 측정과 빠른 판단이 아이의 건강을 지키는 첫걸음입니다.

👉 정기적인 체온계 점검과 올바른 측정 습관이 아이 건강 관리의 기본입니다.